Quickening
━━━━━━━━━━━━━━━━━━━━━━━━━━━━━━━━━━━━━━━━━━━━━
※ 미스트넉 (ミストナック) 시스템
이번작 FFXII에서는 케릭터의 필살기가 미스트넉 (Quickening)이란 이름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특정 상태에서만 발동되던 전작의 필살기와는 달리, 이번작에서는 미스트라고 불리우는
충분한 양의 MP만 가지고 있다면 언제든 케릭터마다의 고유의 기술을 발동시킬 수 있게 되었다.
1. 라이센스 취득하기
![]() |
이것이 미스트넉 라이센스. |
우선 미스트넉 기술을 익히려면, 이와 같이 라이센스 보드에서 전용 라이센스부터 취득 해야 한다.
미스트넉 라이센스는 상단의 스크린샷에 보이는 것 처럼 불꽃 모양과 같이 빛나는 모양이다.
미스트넉 라이센스는 각 케릭터마다 골고루 3개씩 주어지며,
한 케릭터가 습득하면, 다른 케릭터 라이센스 보드의 그 자리는 빈 칸으로 변하게 된다.
즉 케릭터마다 미스트넉 라이센스 위치가 제각각이란 얘기이다.
2. 미스트넉이 중요한 이유
![]() |
미스트 카트는 총 3칸이다. |
미스트넉을 구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취득한 미스트넉 숫자에 따라 MP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단의 스크린샷을 보면 반, 아쉐, 밧슈 셋 다 미스트 카트가 3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세 사람 모두 미스트넉 라이센스를 3개 다 취득한 상태인 것이다 (이 이상은 올릴 수 없다).
이와 같이 이번작에서 MP를 늘일 수 있는 방법은 레벨업이 아닌 오로지 미스트넉 라이센스를 취득하는
방법 뿐이므로, 게임 초반부터 열심히 LP를 모아 부지런히 라이센스를 취득 해보자.
3. 미스트넉은 MP를 소모한다.
MP가 소모되는 3가지의 경우는 (1) 마법, (2) 소환, (3) 미스트넉 발동시이다.
그러나 정확한 소모 수치만큼 감산되는 마법과는 달리, 미스트넉은 소환과 비슷하게
어떠한 레벨의 미스트넉 기술을 발동시켰느냐에 따라 미스트 1 ~ 3 칸이 통째로 소모된다.
예를 들어 반의 미스트칸 3개가 풀로 채워진 상태에서 미스트넉 기술을 발동시킨다고 가정해보자.
이 때 만약 반의 레벨 1 짜리 미스트넉 기술인 '레드 스파이럴'만 발동시키고 미스트넉을 종료한다면
반의 미스트넉 칸은 1칸 줄어 있을 것이다. 또 만약 레벨 3 짜리 '멜트크림존'을 발동시키고 나온다면
미스트칸이 몽땅 소모되어 있을 것이다.
|
그렇다면 레벨 3으로 합산되면 무조건 미스트넉 종료일까, 그렇진 않다.
임의로 미스트 넉을 종료시키지 않는 한, 해당 케릭터의 필살기가 끝나면 현재 파티에 속한 동료들의
필살기가 연속으로 이어지는 미스트넉의 연계 (Chain)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4. 미스트넉의 연계
우선 미스트넉이 발동되면 화면 하단에 4초의 제한 시간이 표시된다. 그리고 해당 케릭의 필살기가 발동되는데,
그 발동되는 사이에 화면 오른쪽 하단에는 다음 순서에 연계 가능한 미스트넉 이름이 표시된다.
동료들의 MP 상태 등에 따라 때로는 1가지만 나올 때도 있고, 3가지가 나올때도 있다.
방법은 우선 현재 필살기가 발동되는 동안 화면에 뜨는 각 미스트넉 옆에 표시되는
,
,
등의 버튼 중
하나를 빠르게 선택하여 눌러주면, 그 선택한 미스트넉 기술이 이어서 발동되는 것이다.
이 목록은 무작위로 선택되는데, 만약 우측 하단에 아무것도 뜨지 않는다면 버튼을 눌러서
재빨리 셔플 해주면, 랜덤으로 기술이 섞여서 다시 목록이 활성화 된다.
또, 레벨 2 합을 넘겨서 미스트 칸을 소모해버린 후 셔플 () 버튼을 선택해주면 가끔
화면에 미스트 충전 (Mist Recharge) 글씨가 나타날 때가 있는데, 이것은 임시로 미스트 (MP)가 채워지고
필살기가 계속 이어지게끔 만들어주는 매우 중요한 옵션이다. 이 충전 메뉴는 뜰 때도 있고, 안 뜰 때도 있는데,
현재 파티에서 몇명이 참여하고 있느냐에 따라 확률에 영향을 끼친다.
파티 인원 | 발생 확률 |
1명 | 1/6 |
2명 | 1/7 |
3명 | 1/8 |
이러한 이유 때문에 미스트넉 연계를 위해서는 가끔 쏠로 플레이가 더 유리할 수 있는 것이다.
어느 시점에서 갬빗을 끌 것인지, 어느 시점에서 동료들을 제외시킬 것인지 등등을 각자 연구하여 도전해보자.
5. 미스트넉 목록
한편, 각 케릭터마다 레벨 1, 2, 3, 총 세가지의 미스트넉 기술이 주어지는데
라이센스 보드 중 어떤 위치에 있는 미스트넉 라이센스를 취득하느냐는 상관이 없으며,
취득한 숫자에 따라 레벨 1 부터 3 까지 차례대로 추가된다.
반
스크린샷 | 한글명 | 영문/일어 | 설명 | 레벨 |
![]() |
레드 스파이럴 | Red Spiral レッドスパイラル |
기운을 모아 적을 공격 | 1 |
딥 하자드 | White Whorl ディ-プハザ-ド |
강력한 허리케인으로 적을 공격 | 2 | |
멜트크림존 | Pyroclasm メルトクリムゾン |
에너지 구를 날려 적을 공격 | 3 |
아쉐
스크린샷 | 한글명 | 영문/일어 | 설명 | 레벨 |
![]() |
북두골쇄참 | Northswain's Glow 北斗骨碎斬 |
성스러운 별의 힘으로 적을 공격 | 1 |
성광폭렬참 | Heaven's Wrath 聖光爆裂斬 |
창공을 뻗어내려 파열과 함께 공격 | 2 | |
천고뢰음 번개참 | Maelstrom's Bolt 天鼓雷音飜妻斬 |
분노의 번개의 힘으로 적을 공격 | 3 |
페네로
스크린샷 | 한글명 | 영문/일어 | 설명 | 레벨 |
![]() |
생살여탈 | Intercession 生殺歟奪 |
고대의 춤으로 적을 공격 | 1 |
운산무소 | Evanescence 雲散霧消 |
칼날과 같은 공기로 적을 공격 | 2 | |
산자수명 | Resplendence 山紫水明 |
공간을 파괴하여 적을 공격 | 3 |
밧슈
스크린샷 | 한글명 | 영문/일어 | 설명 | 레벨 |
![]() |
어둠과 암흑의 충격 | Fulminating Darkness 闇と暗黑の衝擊 |
암흑의 독기를 사용해 적을 공격 | 1 |
잊혀져 사라진 임종 | Ruin Impendent 紛れ無き終焉 |
시간과 공간을 축소시켜 적을 공격 | 2 | |
백귀·열일의 파사 | Flame Purge 百鬼·烈日の破邪 |
화염의 칼날로 적을 공격 | 3 |
발프레아
스크린샷 | 한글명 | 영문/일어 | 설명 | 레벨 |
![]() |
약탈의 콤파스 | Fires of War 略奪のコンパス |
6개의 빛의 오브를 폭파시켜서 공격 | 1 |
숙명의 볼트건 | Tides of Fate 宿命のボルトラン |
강력한 파도를 불러내어 적을 공격 | 2 | |
모역의 아스팩트 | Element of Treachery 謀逆のアスペクト |
거대한 유성을 사용하여 적을 공격 | 3 |
프란
스크린샷 | 한글명 | 영문/일어 | 설명 | 레벨 |
![]() |
란명할살장 | Feral Strike 亂命割殺掌 |
광풍같은 펀치로 적을 공격 | 1 |
강갑파점축 | Whip Kick 强甲破点蹴 |
강력한 발차기로 적 하나를 공격 | 2 | |
파격빙랑파 | Shatterheart 破擊氷狼波 |
거대한 냉기의 파동으로 적을 공격 | 3 |
6. 미스트넉 데미지 공식
우선 각 미스트넉 기술의 레벨에 따라 고유의 힘 수치가 존재하는데, 수치는 다음과 같다 :
레벨 | 힘 수치 |
1 | 90 |
2 | 140 |
3 | 230 |
이 미스트넉의 수치와, 해당 케릭터의 힘(STR) 수치를 곱하여 데미지가 합산된다.
그런데 황당하게도... 데미지 결과는 랜덤이라서, 정말로 운이 나쁘면 단 1 만큼의 데미지가 나올 수도 있다.
정확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데미지 = (1 부터 ~ '미스트넉 힘 수치' 사이의 수) X (1 부터 ~ '케릭터의 힘 수치' 사이의 수) |
예를들어, 아쉐의 힘 수치가 70 이고, 레벨 2 미스트넉 기술을 발동시켰다고 한다면...
- 최소 데미지 공식 : 1 X 1 = 1,
- 최대 데미지 공식 : 70 X 140 = 9800
즉 이 경우는 1 부터 ~ 9800 사이의 데미지가 랜덤으로 나오는 것이다. ;;
7. 미스트넉 융합 기술.
미스트넉 연계 도중 타이머가 종료되면, 맨 마지막에 융합 기술 (Concurrences)이 발동될 때가 있다.
융합 기술의 종류는 총 8 가지이며, 모든 융합 기술을 발동 시키면 공적의 은둔지에 져지 가브란스가 등장하게 된다.
클랜 최강 랭크 '오더 오브 엠브로시아'를 얻고자 한다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다.
![]() |
융합기술 #3, 물의 이럽션. |
융합기술 | 레벨 1 | 레벨 2 | 레벨 3 | 힘 수치 |
화염의 인페르노 Inferno 炎のインフェルノ |
3 | 90 | ||
땅의 카타크라즘 Cataclysm 土のカタクラズム |
7 | 110 | ||
물의 이럽션 Torrent 水のイラプション |
2 | 3 | 130 | |
바람의 라프챠 Windburst 風のラプチャ- |
5 | 155 | ||
화이트아웃 White Out ホワイトアウト- |
5 | 175 | ||
아크 블러스트 Ark Blast ア-クブラスト- |
2 | 2 | 2 | 205 |
루미넷센스 Luminescence ルミネッセンス |
3 | 3 | 3 | 215 |
블랙홀 Black Hole ブラックホ-ル |
4 | 4 | 4 | 253 |
8. 융합 기술 데미지 공식.
※ 융합기술 발동은 연계 순서와는 상관 없으며, 각 미스트넉의 레벨별 발동 횟수만 충족시키면 발동된다.
※ 또한 두가지 이상 융합을 충족시킬 경우에는 상위 기술이 발동된다.
예를 들어 인페르노, 물의 이럽션, 둘 다 충족 시켰다면 물의 이럽션이 발동되는 것이다.
데미지 = (융합기술 힘 수치) X (적의 레벨) |
* 다행히도, 융합기술의 데미지는 랜덤이 아니다.
** 참고로, 최강 블랙홀의 데미지는 (적 1체 뿐 아니라 근처의 모든 적에게 데미지를 줄 경우)
조디악의 필살기에 버금가는 총합 60,000 을 상회할 수도 있다.